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49)
apache2 한개의 서버에서 여러 사이트 운영 [우분투] 14.04에서 아파치 가상호스트로 두 개 사이트 운영하기 (tistory.com) [우분투] 14.04에서 아파치 가상호스트로 두 개 사이트 운영하기 아파치 가상호스트로 두 개 사이트 운영하기 서버는 한대요~~ 가지고 있는 도메인은 두개라~~면? 한 대에서 서로 다른 사이트 두 개를 운영하는 방법이 있다. 이름하야, '아파치 가상호스트'!!! 아 zzaps.tistory.com
php if문으로 class 제어 (파라미터) php if문으로 class 제어 (파라미터 / parameter) //board.php >전체 >바나나상품 >사과상품 탭을 구성할 경우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active클래스를 제어 할 수 있다 ?cate=파라미터 값 첫번째 li의 경우 파라미터가 all, 없을경우 active클래스를 주어 디폴트 상태를 선언하였고 두번째 세번째 li의 경우 각 각의 파라미터의 맞는 조건일 경우 active 클래스가 추가되게 하였다
node 환경에서 종료되지 않는 vue 서버실행 npm run serve 명령어를 사용하여 vue를 실행하는데 터미널을 종료하게되면 서버도 종료된다 터미널을 닫아도(종료) 서버가 꺼지지 않는 방법이다 forever 를 사용하는 방법. 1. 심볼릭 링크 생성 sudo ln -s /server/www/vue vue # sudo ln -s '링크 할 대상위치' '심볼릭링크 이름' cd /vue # /vue 폴더로 이동 2, 쉘스크립트 생성 sudo nano start.sh #start.sh 쉘 스크립트를 생성 및 편집 #nano edit forever start -c "npm run serve" ./ # ctrl + x , Y , 엔터 눌러서 저장 3. 쉘스크립트 실행 sh start.sh
vue 초기 설치 출처 : [Vue] Vue js 프로젝트 생성 및 시작하기(npm, node 설치) (velog.io)
vue3 세팅 (출처) vue3 설치 (tistory.com) vue3 설치 1. node.js 설치하기 : https://nodejs.org/ko/ Node.js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nodejs.org node.js 16 버전으로 설치를 하고 명령 프롬프트 창에서 확인한다 2. Visual Studio Code 설치 godffs.tistory.com 다음 라우트 및 자동세팅 (이미지 처럼) [Vue.js] vue-router로 라우팅하기 (velog.io)
node.js 개발환경설정 in Linux 원글 : node.js 개발환경설정 in Linux (tistory.com) 〃server/node.js node.js 개발환경설정 in Linux NoviceInAny 2014. 5. 27. 17:55 설치를 완료 했다면 간단한 개발환경설정 1. node와 npm을 어느곳에서나 사용하기 위한 PATH 설정 # echo $PATH 현재 $PATH 설정을 확인 한다 # vi /etc/profile export PATH=$PATH:/설치경로/node-v0.10.28/bin profile에 PATH에 /설치경로/node/bin 을 추가 (node-v0.10.28이라는 디렉토리에 node.js를 설치 해서 위와 같은 경로로 추가) # source /etc/profile 설정 된 PATH를 적용하기 위해 /etc..
[aos.js] aosjs 애니메이션 플러그인 캐쉬 오류 처음 페이지에 접속하면 페이지가 길어질 경우 aos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았는데 aos api 초기화 시 위와 같이 작성해서 해결하였습니다.
ubuntu hdd 추가 - 자동 마운트 ubuntu hdd 추가 - 자동 마운트 (재부팅 자동 적용) 출처 : [출처] ubuntu hdd 추가|작성자 핑크토끼 스크랩에 본문과 다르게 재부팅하고 바로 적용이 안되어 확인해보니 $ sudo mount -a 위 명령어를 한번 하고 난 뒤로는 자동으로 마운트가 되었습니다. HDD를 물리적으로 추가하였는데, Ubuntu에서 자동으로 붙지 않는다. USB 같은 것은 자동으로 잘 잡아주면서... 이거 왠지 사용자 친화적이지 않다. ​ 그래서, CLI로 추가 작업을 진행해주어야 한다. ​ ​ 1. HDD 잘 인식하는지 확인하기 ​ - HDD 관련 작업은 fdisk 명령어로 대부분 처리할 수 있다. ​ $ sudo fdisk -l ​ Disk /dev/sda: 53.7 GB, 53687091200 bytes..

반응형